티스토리 뷰


춘절
춘절

전통과 의미가 깃든 춘절 축제

명나라 시대의 설날, 즉 춘절은 중국 전통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중요한 날이었습니다. 이 시기의 춘절의 풍경은 새해 의식, 제사, 문신 등 풍성한 의례와 상징적인 관습으로 가득했으며, 가족 간의 화합과 새해의 희망을 담고 있었습니다. 명나라 때부터 설날 풍습이 민간에 널리 퍼지면서 더욱 다채로워졌습니다. 설날 준비는 음력 12월 여덟째 되는 날, 섣달 초여드레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사람들은 설 물건을 사고, 기둥이나 벽 따위에 장식으로 써 붙으는 글귀로 주련을 쓰며, 떡을 만드는 등 분주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준비 과정은 새해를 맞이하는 기대감과 설렘이 반영되었습니다. 음력 12월 마지막날의 전날, 그믐 전날에는 문신을 붙이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문신은 액운을 막고 복을 부르는 역할로 주로 집의 문에 붙였습니다. 명나라 시대에는 진숙보(진나라 5대 황제)와 위지경덕장군(당나라 초기의 명장)의 초상화를 문신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당태종 시대부터 이어진 전통으로, 두 사람의 용맹함과 충성심을 기리는 의미를 담고 있었습니다. 주련은 문신과 마찬가지로 액운을 피하고 복을 기원하는 용도로 발전하면서 명나라 때부터 주련을 붙이는 풍속이 민간에 널리 퍼졌으며, 상서로운 문구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주련에는 새해의 소망과 축복의 메시지가 담겨 있어, 집 안의 분위기를 한층 더 축제적으로 만들었습니다. 창문에는 꽃그림이나 세화(새해를 맞이하여 그리는 그림)를 붙이고 괘첨(창문을 따라 붙이는 종이 공예품)을 걸었습니다. 선명한 색채를 사용해서 악귀를 쫓고 행운을 기원한다는 의미를 담아냈습니다. 세화에는 유명한 역사적 인물을 그리기도 하고 아름다운 자연 풍경을 그리고, 사람 머리에 호랑이 몸을 한 상상의 동물을 그려 나쁜 기운을 쫒았습니다. 인기 있는 글귀로는 부자가 되고 넉넉하게 살기는 바란다는 뜻인 '부귀유여'를 또한 해마다 평안하기를 바란다는 뜻인 '세세평안'을 그림과 함께 썼습니다.

설날 당일의 풍경

설날 아침에는 조상에 대한 제사가 중요한 의례였습니다. 조상의 위패를 정당에 모시거나 조상을 상징하는 종이로 만든 신마를 걸고 그 앞에 제물을 놓고 촛불을 켰습니다. 조상을 기리고 살아있는 사람들을 격려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습니다. 조상 제사를 지낸 후에는 역서(그 해에 행운이 오는 방향을 알려주는 책)를 통해 행운의 방향을 알아내어 손에는 초롱불을 들고, 폭죽도 터뜨렸습니다. 이런 준비를 마치고 집 밖으로 나가 '희신'이라는 행복을 가져다주는 신을 맞이하는 걸음으로 걸었습니다. 이런 의식은 새해에 좋은 일이 많이 생기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한 것입니다. 명절 음식 또한 풍성하고 다양했습니다. 주식으로는 쌀밥, 빵, 떡 등이 있었고, 부식으로는 생선, 고기, 닭, 베이컨, 완자, 채소부침 등이 준비되었습니다. 특히 만두는 금은괴를 상징하는 중요한 음식이었습니다. 각 음식에는 상징적 의미가 부여되어 있었으며 예를 들어, 생선은 '유여'를 상징하여 해마다 여유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았습니다. 가족이 한자리에 모이는 중요한 시간으로 외출했던 가족 구성원들이 돌아와 함께 식사를 하고 도소주를 마시며 가정의 단합과 화목을 다졌습니다. 춘절의 가장 중요한 의미 중 하나로, 가족 간의 유대가 더 깊어지는 시간이었습니다. 마지막 날 밤에는 '수세'라고 불리는 전통이 있었습니다. 섣달 그믐날 밤에 집안 곳곳에 등불을 밝히고 가족이 모여 밤에 새우는 풍속으로 새해를 맞이하는 의식으로 잡귀를 쫓고 새해의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다른 말로는 '해지 킴이'라고도 합니다. 이 시간 동안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졌는데, 특별한 제야 음식을 먹었습니다. 만두, 떡, 과일, 술 등이 주요 음식이었습니다. 각 음식의 이름은 상서로운 의미와 연관되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사과는 평안을, 대추는 봄이 일찍 오기를, 떡은 해마다 높이 올라가기를 의미했습니다. 수세 시간 동안 다양한 놀이가 이루어졌습니다. 주사위 2개를 던져 말을 움직이는 보드게임의 일종으로 지금의 백개먼과 비슷했습니다. 다른 게임으로는 두사림이 번갈아 돌이나 말을 놓아 승부를 겨루는 전략게임, 작은 막대 모양의 패를 가지고 하는 게임으로 현재의 마작과 비슷하고, 관직 승진을 주제로 한 보드게임으로 주사위를 던져 말을 움직이는 게임이었습니다. 어린이들은 죽마를 타거나 팽이를 치며 놀았고, 매 닭잡기, 소경 사람 더듬기, 주색 등의 구경거리도 있었습니다. 특별한 놀이로 '장구'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집안사람들을 두 팀으로 나누어 고리나 반지, 골무 등을 숨기고 찾는 놀이였습니다. 이는 새해의 순조로움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습니다. 설날 밤 12시가 다가올 때, 집안의 가장은 특별한 의식을 행했어요. 먼저 '태세'라는 그 해의 수호신이 있다고 여겨지는 방향을 향해 제사를 지냈습니다. 그다음, '희신'이라는 행복을 가져다주는 신을 맞이하는 의식을 했죠. 이 순간은 한 해의 마지막 날 밤에 하는 여러 활동 중에서 가장 중요하고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가족들은 이를 통해 지난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해의 행운과 축복을 기원했답니다.

설날의 의미와 정신

명나라 시대의 설날은 단순한 새해맞이를 넘어서는 깊은 의미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가족의 화합, 조상에 대한 존경, 새해에 대한 희망과 기대, 그리고 전통문화의 계승이 모두 설날 풍습에 녹아있었습니다. 이 시대 명절의 풍경은 중국 전통문화의 풍부함과 깊이를 잘 보여줍니다. 각각의 의례와 풍습에는 상징적 의미가 담겨 있고, 단순한 축제를 넘어 삶의 철학과 가치관을 반영하고 있었습니다. 명나라 시대의 설날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중요한 문화적 연결고리 역할을 했습니다. 현대 사회에도 꼭 필요한 문화 인 듯합니다. 살아가기 바쁜 현대인이지만 명절만은 고향으로 내려가 가족 간의 화합하는 시간을 보낸다는 게 참 마음이 따뜻해지는 것 같습니다.